SPRING/Spring MVC

    서블릿, JSP, MVC

    서블릿 서블릿을 배웠으니 본격적으로 만들어 봅시다! 서블릿의 핵심은 가지고 있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자바 코드에 HTML을 입력하는 것입니다! @Override protected void service(HttpServletRequest req, HttpServletResponse resp)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List items = itemRepository.findAll(); // 바디 입력이기 때문에 타입, 인코딩 설정 resp.setContentType("text/html"); resp.setCharacterEncoding("utf-8"); PrintWriter w = resp.getWriter(); // HTML 입력 w.write(""); w.wr..

    HTTP 요청 데이터와 응답 데이터 입력

    요청 메시지 데이터(HttpServletRequest) 이제 본격적으로 데이터를 입력해 봅시다. HTTP 요청 메시지를 통해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법은 크게 3가지입니다. 쿼리 파라미터(GET) HTML Form (POST) API 메시지 바디(POST, PUT,...) 쿼리 파라미터를 통해 전달 인터넷에 아무 검색이나 해봅시다. 그런 뒤 URI을 보면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sm=top_hty&fbm=1&ie=utf8&query=쿼리파라미터 물음표(?) 뒤 'name=value'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를 쿼리 파라미터라고 하는데 해당 요소들을 통해 요청 메시지에 데이터를 담을 수 있습니다. ..

    MVC 사용 전 서블릿

    서블릿 등장 HTTP를 공부하셨던 분이라면,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한 과정들을 간략하게나마 알고 계실 겁니다. 1. Connection을 생성하고, 소켓을 연결 2. HTTP 요청 메시지를 파싱하여 읽기. 3. 요청 메시지의 헤더 정보 파악 3-1. 메서드 파악(GET, POST, PUT, ...) 3-2. 인코딩 타입 (Content-Type) 3-3. 등등.. 4. 요청 메시지 바디 내용 파싱 5. 프로세스 실행 6. 로직 실행 7. DB 최신화 8. HTTP 응답 메시지 생성 9. 응답 메시지 전송 9-1. 소켓 종료, Connection 종료(응답 메시지 전송과 함께 FIN Flag 전송) 서블릿을 사용하기 전에는 이 과정을 모두 개발자가 구현해야 했습니다. 그런데 곰곰이 생각을 해 보면 내용이 계..